한국웃음청렴연구소
 
최정수 소장
칼럼

최정수 소장

칼럼

조회 수 2229 추천 수 0 댓글 0

"정부 보조금은 먼저 타 먹는 게 임자틀린 말 아니었다(일간지 인용)

 

최근 3년간 시민 단체가 수령한 국고 보조금 감사 결과 총 1865건에서 314억원의 부정·비리가 확인됐다. 소규모 사업은 제외하고 대형 사업 위주로 감사했는데도 이렇게 많았다. 서류를 조작해 보조금을 받은 후, 횡령하거나 사적 용도로 쓰는 등의 사례가 부지기수였다. ‘정부 보조금은 먼저 타 먹는 사람이 임자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었다.

민간단체에 대한 국고 보조금은 문재인 정부 5년간 급증했다. 2016년엔 22881개 단체에 총 35600억원이 지급됐던 것이 지난해에는 27215개 단체, 54500억원으로 대상과 금액이 모두 증가했다. 문 정부 5년간 국고 보조금이 연 평균 4000억원씩 늘어난 것이다.

보조금 지급이 급증했지만 어떤 이유인지 문 정부는 사후 관리에 뒷짐 지고 감시를 소홀히 했다. 한 단체는 일자리 사업 명목으로 3110만원을 지원받았는데, 이번에 감사를 해보니 강의실이나 컴퓨터, 상근 직원도 없는 가짜 단체였다. 단체 대표는 자신이 운영하는 학원 시설과 기자재를 단체 소유로 허위 기재해 보조금을 타냈다. 해당 부처 담당 공무원이 한 번만 점검했어도 막을 수 있는 일이었다.

묻혀 있는 민족 영웅을 발굴하겠다며 문 정부 때 6260만원을 지원받은 단체는 현재 윤석열 정권 퇴진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 단체는 강의 자료 작성자도 아닌 사람 이름으로 지급 한도의 3배 이상 원고료를 지원 받기도 했다. 보조금 선정 과정에서 문 정권과 밀착됐기 때문에 이런 일이 가능했을 것이다.

이번 기회에 국고 보조금을 이렇게 많은 단체에 지원해야 하는지 근본적인 문제부터 시작해 선정 과정, 지원 체계, 관리 규정에 대한 전면적 점검에 나서야 한다. 보조금을 받는 단체에서 부정이 나올 경우, 담당 공무원이 책임지게 하는 시스템도 절실하다. ‘보조금 실명제를 도입해 누가 어떤 절차를 거쳐 보조금을 지급했으며 어떻게 운영 실태를 점검했는지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도 방법일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노동조합에 지원되는 정부 보조금의 흐름이 투명하게 공시되는 시스템을 추진 중인데 여기에 민간단체 보조금도 포함시켜 같은 맥락에서 다뤄야 한다. 1만원이라도 세금이 지원된다면 누구든지 돈의 용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심각한 부정을 저지른 단체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를 도입해 일벌백계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출처 : 조선일보 사설, 2023.6.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 헌법재판소냐? 헌법개판소냐? 헌법도망소냐? 관리자 2025.02.14 336
32 법원이 법원 난입 사태에 생각해야 할 것 관리자 2025.01.21 442
31 나라인가, 아내인가 관리자 2024.10.16 969
30 재정자립도 10%짜리 군수 후보들이 내놓는 현금 살포 공약 관리자 2024.10.01 824
29 '세 김 여사'와 그의 '婦唱夫隨' 남편들 관리자 2024.06.03 1375
28 제22대 총선의 5대 유감(有感) 최정수 2024.04.15 1559
27 피고인이 떵떵대며 의원 임기 채우는 나라 관리자 2024.03.12 1673
26 공직자의 공사구분(公私區分)과 언행일치(言行一致) 최정수 2023.11.30 2125
» 정부 보조금은 먼저 타 먹는 게 임자 관리자 2023.06.05 2229
24 공익신고자 보호의 허실(虛失) 최정수 2023.06.05 2511
23 검찰 vs 이재명의 진검 승부 최정수 2023.03.16 2378
22 정치와 정치인 최정수 2023.01.08 2508
21 줄잇는 거액 횡령사고에 대한 대비책(?) 관리자 2022.07.11 2565
20 청렴Leadership(환상적인 작별, Angelika Merkel) 최정수 2022.04.01 2543
19 ‘세상에 공짜는 없다!’ 최정수 2022.04.01 2502
18 20대 국회의원 낙선 추진당(20대국회낙추당) 창당! file 최정수 2020.01.06 2459
17 ‘성 인지 감수성’(性 認知 感受性, Gender Sensitivity) 최정수 2019.04.28 2973
16 조직의 청렴도 향상과 조직문화적 접근법(소고) 최정수 2019.01.03 2661
15 청소년의 부패인식도와 국가 미래 최정수 2017.11.30 2838
14 청탁금지법(김영란법) 소고 최정수 2016.08.10 2981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